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리눅스 관련 용어

 


 

리차드 스톨만

GNU ( GNU's Not Unix )

FSF ( Free Software Fundation )

GPL과 Open Source Software

미닉스 ( MINIX : Mini-unix )

TUX

커널 ( Kernel )

 


 

 

1. 리차드 스톨만 (GNU 프로젝트의 리더, FSF 설립)

 

● 리차드 스톨만(MIT 컴퓨터공학과 교수)은 리눅스 토발즈와 함께 리눅스의 양대산맥으로 꼽히는 사람이다. 오늘날의 리눅스를 있게 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 그는 자유소프트웨어연합 ( FSF : Free Software Foumdation )을 조직화했다.

● GNU ( GNU's Not Unix ) 프로젝트 (http://www.gnu.org) 역시 그가 주도한 것이다.

● GNU 정신의 효율적인 계승을 위해 카피레프트 운동을 주창했다. ( 소프트웨어는 사회의 공적인 지적 재산이므로 사회적으로 유익한 모든 방식에서 그것의 사용에 있어 자유로워야 하고,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소스코드에 누구든 자유롭게 접근하고 공율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자유소프트웨어에 있어서의 카피레프트의 정신.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를 서적이나 문서와 같은 것으로 본다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 한편 FSF는 1년에 두 번 GNU 게시판을 통해 프로그램의 개발 현황과 GNU 프로젝트 참여자 및 FSF에 기금을 낸 단체를 밝히고 있으며, 지적소유권에 반대하는 내용의 온라인북도 발간하고 있다.

 

2. GNU ( GNU's Not Unix )

 

● GNU는 유닉스와 호환되면서 더 강력한 운영체제를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의미하는 것이다.

● GNU 프로젝트는 FSF (  Free Software Foumdation )의 리차드 스톨만에 의해 시작되었다.

● GNU라는 단어는 재귀적 약어법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 재귀적 약어법 : 사용하고자 하는 단어가 다시 들어가도록 하는 방식 )

● GNU 프로젝트는 소프트웨어의 상업화에 반대해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자는 운동으로 리눅스가 바로 그 대표적인 성과물이다.

● Free Software Foumdation : 자유가 무료가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의 자유로서의 자유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아예 돈을 벌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의 공개와 사용자의 사용에 대한 완전한 자유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지적 재산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3. FSF ( Free Software Foumdation )

 

● 1984년 리차드 스톨만에 의해 제창 되었다.

● 자유 소프트웨어를 보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조직되어 현재의 GNU/Linux 운영체제가 있게 한 비영리 단체이다.

 

4. GPL ( General Publuc License )과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Open Source Software )

 

● GPL은 FSF에서 GNU 정신에 입각하여 자유 소프트웨어를 보호하며, 실제적으로 카피레프트를 담보할 수 있는 법률 장치이자, 사용권 허가 방법으로 GPL이 적용된 소프트웨어는 자유 소프트웨어이다. ( 예 : 리눅스, Bash, gcc, gimp, GNOME )

● 오픝소스 소프트웨어 : 오픈소스에 대한 의미를 충족시키는 소프트웨어어이며, 오픈소스의 정의는 "http://www.opemsource.org/docs/definition_plain.html" 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예 : Apache, Qt, Mozilla ). 이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는 내용에 따라 GPL에 합치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GNU의 자유 소프트웨어가 소프트웨어의 상업적 용도의 사용에 부적합하다는 논의하에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다. 자유 소프트웨어어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기본적인 목표는 같지만, GNU에서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같은 진영으로 인정하면서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념에 있어서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다.

 

5. 미닉스 ( MINIX )

 

● 교육용 유닉스이다.

● 리누스 토발즈는 미닉스를 이용하여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체제로서 리눅스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리누스는 리눅스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유닉스세 여러 가지 힌트를 얻었지만, 미닉스를 참고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단지 리눅스 개발을 미닉스상에서 한 것이다.

 

6. TUX

 

● 펭귄으로 리눅스의 공식적인 로고이다.

● TUX는 토발즈와 유닉스 단어의 스펠링에서 T와 U, X를 따서 정한 것이다. ( Torvalds, UniX → TUX! )

● 리눅스 로고에 대한 정보는 http://www.linux.org/info/logos.html에서 볼 수 있다.

● 리눅스의 공식적인 로고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국내외의 다양한 로고가 있는데, 이것은 http://linux.co.kr/theme/special_mascot.html에서 볼 수 있다.

 

7. 커널 ( Kernel )

 

커널이란, 간단하게 설명하면 모든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있는 운영체제를 이루는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마도 DOS나 Microsoft Windows 사용자라면 IO.STS나 MSDOS.SYS를 알고 있을 것이다. 이 파일들을 시스템 장치에 관계된 일들을 수행하는데, 바로 커널도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Windows NT/200x 사용자들은 한번쯤은 커널에 대해 들어봤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Windows 95/98/ME/XP에도 커널은 존재한다. Windows95/98이 처으 실행될때 Windows\System 디렉터리에 위치한 KRNL386.EXE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정리하면 커널은 어떤 운영체제에나 들어 있는 운영체제의 핵심이다. 커널이 하는 일은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자원(Resource)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눅스 커널의 버전은 다음과 같이 표시 된다.

 


 

2. 4. 17 -xfs

 

2. : 주번호(major)

4. : 부번호(minor)

17 : 패치번호

-xfs : 추가번호

 


 

 

 

 

 

 

 

 

 

 

 

Posted by cdprkr20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