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을 복사,이동에 관련된 명령어
1. cp : Copy 복사
- 지정된 대상의 파일의 정보를 원하는 대상에 파일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명령어
[root@localhost ~]# cp [경로]원본지정 [경로]대상지정
[ 참고 ]
cp라는 명령어는 입력된 원본의 대상의 정보에 따라 파일을 생성한다. 따라서 지정된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원본의 대상의 이름을 따라 지정된 경로에 복사하게 된다.
1. 원본의 대상을 지정하고 대상을 정확하게 지정하는 방식
[root@localhost ~]# cp 원본지정 대상지정
[root@localhost ~]# cp passwd passwd1
-> passwd라는 파일의 정보를 읽어서 passwd1에 그정보를 저장한다.
2. 원본의 경로와 대상을 지정하고 대상을 지정하는 않는 방식
[root@localhost ~]# cp 경로/원본지정 경로/
[root@localhost ~]# cp /etc/passwd /root/
-> 최상위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etc라는 디렉토리에 passwd파일 정보를
읽어서 지정된 최상위 디렉토리에 root라는 디렉토리에 저장한다.
3. 원본의 경로에 해당하는 여러가지 파일을 지정된 디렉토리 복사하는 방식
[root@localhost ~]# cp 경로/* 경로/
[root@localhost ~]# cp 경로/대상1 경로/대상2 경로/대상3 경로/
[root@localhost ~]# cp 경로/{대상1, 대상2, 대상3} 경로/
[root@localhost ~]# cp /etc/* /root/
[root@localhost ~]# cp /etc/passwd /etc/group /etc/hosts /root/
[root@localhost ~]# cp /etc/{passwd,groups,host} /root/
[ cp에 관련된 추가적인 사항 ]
-r : 지정된 디렉토리의 구성된 리스트를 복사해준다.
-a : 파일이 가지는 원본의 정보와 동일하게 복사한다.
-v : 과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2. mv : Move 이동
- 지정된 대상의 파일의 정보를 원하는 대상에 파일에 정보를 이동하기 위한 명령어
[root@localhost ~]# mv [경로]원본지정 [경로]대상지정
1. 원본의 대상을 지정하고 대상을 정확하게 지정하는 방식
[root@localhost ~]# mv 원본지정 대상지정
[root@localhost ~]# mv passwd passwd1
-> passwd라는 파일의 정보를 passwd1의 대상으로 이동한다.
2. 원본의 경로와 대상을 지정하고 대상을 지정하는 않는 방식
[root@localhost ~]# mv 경로/원본지정 경로/
[root@localhost ~]# mv /etc/passwd /root/
-> 최상위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etc라는 디렉토리에 passwd파일 정보를
지정된 최상위 디렉토리에 root라는 디렉토리에 이동한다.
3. 원본의 경로에 해당하는 여러가지 파일을 지정된 디렉토리 이동하는 방식
[root@localhost ~]# mv 경로/* 경로/
[root@localhost ~]# mv 경로/대상1 경로/대상2 경로/대상3 경로/
[root@localhost ~]# mv 경로/{대상1, 대상2, 대상3} 경로/
[root@localhost ~]# mv /etc/* /root/
[root@localhost ~]# mv /etc/passwd /etc/group /etc/hosts /root/
[root@localhost ~]# mv /etc/{passwd,groups,host} /root/
[ mv에 관련된 추가적인 사항 ]
-v : 과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
rm : remove
- 파일의 정보를 저장하는 형태를 제공하는 파일을 삭제해주는 명령어
[root@localhost ~]# rm [경로]대상명......
[ rm을 사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사항 ]
-r : 지정된 파일의 정보를 가지는 디렉토리의 구성사항을 삭제한다.
-i : 지정된 동작을 하기전에 동작 여부를 파악할수 있도록 제시한다.
[ 참 고 ]
항상 rm이라는 명령어를 통하여 파일을 삭제할때 지정된 파일을 삭제를 할것인지 대한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지정된 옵션이 -i를 항상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필요한 부분을 항상 rm -i 라는 동작을 사용해야 하지만 사람의 성격상 잊어 먹을수 있는 부분
이기 때문에 먼저 지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만든다.
사용자 설정파일인 .barhrc에 alias rm='rm -i'이라는 것을 통하여 먼저 지정하여 사용한다.
-f : 동작여부에 파악되는 정보를 무시하고 동작하게 만들어 준다.
[ 참 고 ]
정확하게 파일을 삭제하고자 하는것이 파악되고 동작되는 방식이 지정되었을 때 사용한다.
-i 라는 옵션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한다.
'매니저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의 개요 ( 리눅스 관련 용어 ) (0) | 2013.02.25 |
---|---|
리눅스 개요 (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터리 구조) (0) | 2013.02.25 |
리눅스 아카이빙과 Compress (0) | 2011.11.28 |
PuTTY 설정 방법과 사용방법 (리눅스 사용) (0) | 2011.11.28 |
리눅스 CUI에서 종료방법 (0) | 2011.11.28 |